-
104
- 김학민 박사(환경공학 09학번) 동서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9학번 김학민 박사(지도교수: 노현석)가 동서대학교 소프트융합대학 스마트모빌리티학부에 정년 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되었다. 동서대학교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1992년 3월에 개교한 4년제 사립대학이다. 동서대학교는 LINC3.0사업, 부트캠프 사업, 글로컬대학 30 사업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우수한 역량의 대학이다. 김학민 박사는 ‘폐기물 에너지화’, ‘수소 생산’, ‘금속 회수’, ‘탄소 중립’ 분야 연구를 통해 38편의 SCI논문 (주저자 14편)을 게재하며 연구 능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한국 연구재단의 박사 후 국내 연수사업과 세종과학펠로우십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유기성 폐자원으로터 수소를 생산하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김학민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연구역량과 교육역량이 우수한 교수님들의 엄격하고도 따듯한 지도를 바탕으로 연구와 학업에 집중한 결과, 교수 임용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라고 전하며, “교수님 지도를 성실히 따르고, 적극적으로 여러 가지 경험을 도전하고 다방면으로 자신의 역량을 계발한다면 충분히 본인이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의 말을 전하였다. 김학민 박사는 이어서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부의 우수한 환경-에너지 전문인력 및 연구력과 함께 부산 지역 내 국가 산업 단지를 포함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세대-동서대 간 연구 및 교육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면서 “연세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교육시스템을 동서대학교에서도 벤치마킹하여 지역의 우수한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4.09.25
-
103
- 전경원 박사(환경공학 07학번) 국립군산대학교 에너지신산업학부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7학번 전경원 박사(지도교수: 노현석)가 국립군산대학교 에너지신산업학부에 정년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됐다. 국립군산대학교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근 RIS 사업의 에너지신산업 중심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에너지 분야의 특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립대학이다. 전경원 박사는 ‘수소 생산’, ‘바이오연료 생산’, ‘탄소중립’ 분야 연구를 통해 40편 이상의 SCIE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박사 후 국내연수, 창의도전연구지원사업, 세종과학펠로우십을 수주한 바 있다. 전경원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학습 시스템과 지도교수님을 포함한 학부 교수님들의 맞춤형 교육 및 애정 어린 지도를 통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라고 소감을 밝히며, 후배들에게도 “학교의 교육 시스템과 교수님들을 믿고 꾸준히 정진한다면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서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응원을 보냈다. 전경원 박사는 이어서 “앞으로 새만금의 중심지인 군산에서 연세대학교와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관련된 협력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4.03.06
-
102
- 이상수 교수, 4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 연세대 미래캠퍼스(미래캠퍼스부총장 권명중) 환경에너지공학부 이상수 교수가 글로벌 학술정보서비스 분석기업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이하 '클래리베이트')'에서 발표한 '2023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s, 이하 'HCR')'에 4년 연속으로 선정되었다. 출처: https://blog.naver.com/nextyonsei/223293104955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3.12.22
-
101
- 안용태 박사(환경공학부 03학번) 경기대학교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3학번 안용태 박사(지도교수: 강준원)가 경기대학교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에 정년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되었다. 경기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학으로,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종합 사립대학이다. 안용태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공학부에서 학부, 석사, 박사과정을 공부하였으며, ‘바이오에너지’, ‘토양지하수 복원’, ‘정수/하수처리’ 분야 연구를 통해 60편 이상의 SCIE 논문을 게재하였다. 안용태 박사는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맞춤형 학습시스템과 지도교수님을 포함한 학부 교수님들의 따뜻한 지도를 바탕으로 연구에 정진한 결과 교수 임용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 라고 소감을 밝히며, “앞으로 연세대-경기대 간 협력 연구 및 환경 에너지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3.11.18
-
100
- 장원준 박사(환경공학 04학번) 아주대학교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4학번 장원준 박사(지도교수: 노현석)가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에 정년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되었다. 아주대학교는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종합 사립대학으로, 2022년에는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13위에 이름을 올린 국내 명문 대학이다. 장원준 박사는 ‘폐자원 에너지화’, ‘수소 생산’, ‘탄소 중립’ 분야 연구를 통해 50편 이상의 SCIE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다양한 연구, 장비 구축, 정책, 인력양성 사업들을 수주한 바 있다. 장원준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교육 시스템과 더불어 지도 교수님을 비롯한 학부 교수님들의 따뜻한 지도를 바탕으로 꾸준히 정진한 결과” 라고 소감을 밝히며, “후배님들이 환경에너지공학부에서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 및 에너지 분야 미래 유망 기술을 배우고 우수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기대합니다.” 라고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장원준 박사는 이어서 “앞으로 연세대학교-아주대학교 간 협력 연구 및 환경 & 에너지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포부를 전했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3.08.31
-
99
- 양하늬 박사(대학원 16학번), 단과대학 학위논문 최우수논문상 수상 (Best Thesis Award)
- 연세대학교 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양하늬 박사 (지도교수: 박동희)가 단과대학 자연부분 학위논문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공모’는 연세대학교 대학원생의 연구 의욕 고취와 내실 있는 대학원 학문 풍토 조성을 위해 1993년부터 시행되어 매년 대학원생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양하늬 박사는 ‘크롬폐수처리를 위해 생체흡착기술을 이용한 생물환원공정의 실용화 연구’를 주제로 하여 6년간의 연구 끝에 박사학위를 받았고, 그 학위논문이 이번 대학원 혁신 우수논문 시상에서 최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된 것이다. 무엇보다도 연세대학교 전체에서 단 4명만 선정한 학위논문 단과대학 최우수논문상 수상자 가운데 미래캠퍼스에서는 유일하게 양하늬 박사 논문이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양하늬 박사는 “하나의 주제로 기초연구-응용연구-실용화 연구까지 수행한 것은 큰 행운이며, 지도교수님의 훌륭한 지도 아래에 이룬 결과라고 생각합니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관련 대학원 News https://graduate.yonsei.ac.kr/graduate/board/news.do?mode=view&articleNo=170254&article.offset=0&articleLimit=10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3.07.26
-
98
- 이상수 교수, 2020년, 2021년에 이어 3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에서 발표하는 세계 학문 분야별 연구자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논문 피인용 횟수 상위 1% 연구자' (Highly Cited Researchers, HCR)에서 국내 연구자 63명 중 연세대에서 3명이 3개 분야에서 이름을 올렸고, 그 중 환경에너지공학부 이상수 교수가 크로스필드 분야에 선정되었다. HCR은 각 분야에서 당해 가장 많이 피인용된 상위1%의 논문을 기준으로 선정된다. 연구자 선정을 통해 전 세계에서 영향력이 높은 연구자들을 파악하고, 성과 공유를 통한 지식 경계의 확장과 혁신을 도모한다는 취지다. 이상수 교수는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 올해에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며 3년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관련기사: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6533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2.11.23
-
97
- 백승기 박사(환경공학 04학번) 수원대학교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4학번 백승기 박사(지도교수: 서용칠)가 수원대학교 정년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되었다. 수원대학교는 융복합 산학협력 선도 대학을 목표로 ICT, 나노신소재, 빅데이터, 문화콘텐츠 분야의 특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4년제 사립 종합대학이다. 백승기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공학부에서 학부, 석사, 박사과정을 공부하였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 분야에서 연구 능력을 인정받았다. 백승기 박사는 “지도교수님과 학부 교수님들의 가르침에 따라 성실하게 공부와 연구에 전념한 결과”라고 소감을 밝히며, “앞으로 연세대-수원대 간 협력 연구 및 환경 에너지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2.05.26
-
96
- 이열림 박사(환경공학부 09학번) 계명대학교 정년트랙 교수 임용
- 환경공학부(현 환경에너지공학부) 09학번 이열림 박사(지도교수: 노현석)가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전공에 정년 트랙 전임 교원으로 임용되었다. 계명대학교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재학생 규모 약 30,000명(전국 8위)의 대형 종합 사립대학으로, 1899년 제중원으로부터 시작된 지역 명문 사학이다. 최근 대학혁신지원사업, 대경혁신인재양성프로젝트 혁신대학사업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국가 및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열림 박사는 ‘폐기물 에너지화’, ‘수소 생산’, ‘탄소 중립’ 분야 연구를 통해 38편의 SCIE 논문(주저자 10편)을 게재하며 그 연구능력을 인정 받았다. 또한, ‘재생 가능 원료 기반 수소 생산 공정 설계 및 내황 촉매 개발’을 주제로 5억원 규모의 한국연구재단의 세종과학펠로우십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연구의 실용성 면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었다. 이열림 박사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맞춤형 교육 시스템과 더불어 지도교수님을 비롯한 학부 교수님들의 따뜻한 지도를 바탕으로 꾸준히 정진하여 연구력 향상에 집중한 결과 교수 임용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었다.”라고 밝히며, “순수 미래캠퍼스 학사-석사-박사 출신으로 교수에 임용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후배들도 주변 환경을 탓하거나 스스로를 의심하지 않고 열심히 노력한다면 한계를 부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열림 박사는 이어서 “연세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부의 우수한 환경-에너지 전문 인력 및 연구력과 함께 대구/경북 지역 내 국가 산업 단지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세대-계명대 간 공동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할 예정”임을 밝혔고, “연세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부의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계명대학교에 반영하여, 그 동안의 경험을 기반으로 우수 지역 인재 양성에 힘쓰겠다.”며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2.02.15
-
95
- 탄소중립과 ESG경영(단장: 이상수 교수), 연세대 미래캠퍼스 대형융합연구사업단 최종 주제로 선정
- 올 상반기 연세대 미래캠퍼스는 인류, 국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지향적인 대형융합연구 주제를 발굴하기 위해 내부공모를 실시했다. 그리고, 첨단 융·복합 웨어러블(wearable) 기반의 만성질환 예방·진단·치료 기술 개발, 치매의 사회적 처방 모형 개발, 탄소중립과 ESG경영, 이렇게 총 세개의 분야를 최종 주제로 선정했다. 특히, 환경에너지공학부 이상수 교수가 단장을 맡은 ‘탄소중립과 ESG경영 연구사업단’은 세계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탄소중립, 기후변화, 에너지혁신 등의 연구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 나갈 계획이다. 연세대 미래캠퍼스는 대형융합연구사업단의 정착과 성공을 위해 중장기 목표를 세우고 단기적으로는 연구소설립과 국제행사, 매칭펀드, 네트워킹 등을 지원해 연구사업단 인프라 구축, 중장기적으로는 중대형 국가연구사업 수주ㆍ대형국가연구센터 유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17689
- 환경에너지공학부 2021.11.25